[명칭유래] 울산 은을암 隱乙巖

은을암 隱乙巖

이 바위에는 박제상朴堤上과 그 아내에 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박제상은 신라 눌지왕訥祗王(재위 417~458)때의 충신忠臣이다. 당시 눌지왕은 고구려와 일본에 볼모로 잡혀 있던 두 동생을 몹시 보고 싶어 하였다. 박제상은 임금의 명령을 받아, 먼저 고구려로 가서 복호卜好를 구출하였고, 뒤이어 일본으로 건너가 미사흔未斯欣을 구출하여 귀국시켰으나, 일이 탄로나 자신은 붙잡히고 말았다. 일본의 왕은 박제상에게 자신의 신하가 되면 많은 상을 주겠다고 회유하였으나, 박제상은 신라의 신하라는 소신을 굽히지 않았고, 심한 고문 끝에 화형火刑을 당하였다.

 

한편, 그 소식을 알 리 없는 박제상의 부인은 딸들을 데리고 치술령鵄述嶺에 올라 남편이 있는 일본 쪽을 바라보며 통곡하다가 세상을 떠났는데, 그 몸은 돌로 변해 망부석望夫石이 되고, 영혼은 새가 되어 날아와 이 바위에 숨었다고 한다. 그 뒤로 이 바위를 새[乙]가 숨은[隱] 바위[巖]라는 뜻에서 은을암隱乙巖이라고 부른다.